카테고리 없음

심 스와핑(SIM Swapping)이란? 실제 피해 사례와 예방 방법

새벽빛^^* 2025. 4. 29. 22:00
반응형
SMALL

 


심 스와핑(SIM Swapping)이란? 실제 피해 사례와 예방 방법

SKT 해킹사고, 그 여파는 일파만파 아직도 현재진행형입니다.

 

해커/출처:픽사베이

 

 

1. 심 스와핑이란?

**심 스와핑(SIM Swapping)**은 해커가 피해자의 개인정보(이름, 전화번호, 주민등록번호 등)를 이용해 통신사로부터 피해자의 유심을 새로 발급받는 범죄 수법입니다.
이 방식으로 피해자의 휴대폰 번호를 해커가 통제하게 되며, 2차 인증 문자나 인증 전화를 가로채 금융사기까지 연결됩니다.


2. 실제 심 스와핑 피해 사례

사례 1) 가상화폐 해킹

한 사용자는 통신사 직원으로 위장한 해커에게 속아 유심을 재발급당했고,
구글 OTP 인증이 해커에게 넘어가면서 수천만 원 상당의 코인이 유출되었습니다.

사례 2) 인터넷뱅킹 불법 송금

해커는 피해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로 유심을 발급받은 뒤,
인증 앱(PASS 등)을 재등록하고 계좌 비밀번호를 변경, 수백만 원을 탈취했습니다.


3. 심 스와핑의 진행 방식

  1. 해커가 피해자의 개인정보 확보
  2.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대리점에 접근
  3. “휴대폰 분실/도난” 등의 사유로 유심 재발급 요청
  4. 새로운 유심을 장악하고 문자/통화/인증코드 수신
  5. 인터넷뱅킹, 간편결제, SNS 등을 탈취

4. 심 스와핑 예방 방법

1) 유심 보호 설정

  • 유심 비밀번호(PIN) 설정: 설정 > 보안 > 유심 잠금
  • 통신사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(예: SKT ‘유심보호 서비스’)

2)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활용

  • 각 통신사의 명의보호/사기방지 서비스 가입
  • 알뜰폰 사용자의 경우도 본인 확인 서비스 확인 필수

3) 금융 보안 강화

  • OTP 또는 보안카드보다 생체 인증 앱 사용 추천
  • 공공 와이파이에서 금융앱 접속 금지
  • 인증 앱에 로그인 알림 활성화

4) 통신사 계정 보안 강화

  • 통신사 앱에 이중 인증 설정
  • 생년월일, 이름 등 개인정보가 쉬운 비밀번호는 지양

5. 만약 의심된다면?

  • 즉시 통신사 고객센터에 내 유심 상태 확인 요청
  • 통화/문자 착신 이력 확인
  • 금융거래 알림 설정으로 이상 거래 실시간 확인
  • **경찰 사이버수사대 또는 KISA(한국인터넷진흥원)**에 신고

마무리: SIM 스와핑, 누구나 당할 수 있다

SIM 스와핑은 단순한 해킹이 아닙니다.
개인정보, 인증 방식, 통신사 보안의 사각지대를 노린 고도화된 공격입니다.
지금 바로 유심과 금융 보안을 점검하고, 피해를 예방하세요.


SKT 유심교체 예약신청 사이트

https://www.tworld.co.kr/web/home

 

안녕하세요, T world입니다.

여기를 눌러 T world로 이동하세요.

www.tworld.co.kr

 

본 게시물에 사용된 이미지는  pixabay 무료이미지 사이트에서 일부 활용하여 제작하였으며, 상업적 목적 없이 블로그 콘텐츠용으로만 사용되었습니다.

bon gesimul-e sayongdoen imijineun  pixabay mulyoimiji saiteueseo ilbu hwal-yonghayeo jejaghayeoss-eumyeo, sang-eobjeog mogjeog eobs-i beullogeu kontencheuyong-euloman sayongdoeeossseubnida.

 

친구사이

반응형
LIST